kubectl을 통한 K8s 클러스터로의 접근

kubectl은 실행에 앞서 클러스터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어있는데, 등록이되어있어야만 kubectl에서 다양한 클러스터의 kube-apiserver로 접근할수 있는것이다.

핵심은 kubectl$HOME/.kube 에서 kube config 정보를 찾고, 이에 해당하는 클러스터에 시도한다는것이다.

eksctl, gcloud 의 차이

클라우드 별 명령어

 AWS의 EKS: eksctl

  • EKS와 관련된 설정을 진행할때 사용하는 명령어

 GCP의 GKE: gcloud

  • GCP에는 GKE를 관리하기위한 전용명령어가 존재하지않는다
  • GCP 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통합관리하는 명령어

GKE

GKE의 경우: GCP → Kubernetes Engine → 클러스터 → 연결 → 명령줄 액세스 에 보면 자세히나와있음

EKS

EKS의 경우: aws eks update-kubeconfig --region {region-code} --name {my-cluster}

jjonggue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