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주차 강의
링크 : https://www.cloudskillsboost.google/course_sessions/3145240/video/374495
동영상 : 클라우드 컴퓨팅과 Google Cloud
클라우드 컴퓨팅의 5속성
- 주문형 셀프서비스 : User가 주문하면 자동화된 interface를 통해서 Cpu, Storage, Network를 제공받는다
- 어디에서나 액세스가능 : User는 해당 리소스의 정확한 위치를 알필요가없다
- 탄력적 리소스 : 더 많은 리소스, 더 적은 리소스에 대해서 확장성이 용의
- 비용 : 사용한(예약한)만큼만 비용지불
GKE (Google Kubernetes Engine)
- GCP에 요청하는 사항은 클라우드에서 코드를 실행하게하는것
- Container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수있음
Compute Engine
- 가장 기본적인 실행환경
App Engine
- 완전관리형 PaaS 프레임워크
Cloud Funtions
- 완전한 서버리스 실행환경
동영상 : 리소스 관리
GCP에서 영역, 리전, 전역 규모에서 지리적으로 분산되는 방식을알아볼것
GCP리소스의 구분
- 세계를 3개의 멀티리전지역으로 구분 : 미주, 유럽, 아시아태평양
- 대륙 내에서 지리적 위치로 리전지역으로 구분
- 리전은 GCP 리소스 배포 위치인 영역으로 구분
- 대륙 내에서 지리적 위치로 리전지역으로 구분
- 물리적 단위로의 구분
Edge Caching Network
- 최종사용자와 가깝게 배치해서 지연시간을 최소화할수 있었음
프로젝트
- 기본 수준의 구성항목, 결제, API, 권한관리
- 논리적 단위로의 구분
동영상 : 청구
결제계정
- 하나이상의 프로젝트에 연결가능
- 연결하지않은 프로젝트에서는 무료서비스만 사용가능
- 프로젝트 결제를 분리할수 있음
- 기능 : 예산 및 알림, 결제 내보내기, 보고서 기능을 통해서 과도하게청구되는걸 방지
할당량
- 악의적인 공격으로 인한 리소스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기위해서 설계됨
- 할당량 구분
- 비율 할당량(Rate quota)
- 특정 시간이 지나면 재설정
- 배정 할당량(Allocation quota)
- 프로젝트에 있는 리소스 수를 제어함
- 비율 할당량(Rate quota)
동영상 : Google Cloud와 상호작용
상호작용을 할수있는 4가지방법
- Google Cloud Platform(GCP) Console
- GCP리소스를 관리하는 웹기반 GUI
- Cloud Shell
- 브라우저 내에서 명령줄을 통해 클라우드 리소스에 직접 액세스 가능
- Cloud SDK같은 다른도구를 설치하지않고, 프로젝트 리소스를 관리가능
- 일종의 임시머신 + 대화형 방식을 통해서, 사용할때마다 과금됨
- GCP용 명령줄 도구 모음이 포함되어있음
- Cloud SDK
- 직접 설치해서 사용하는거
- GCP용 명령줄 도구 모음이 포함되어있음
- Cloud Console 모바일 앱
문서
Kubernetes Engine :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위한 관리형 환경
Compute Engine : 가상 머신 배포를 위한 관리형 환경
App Engine :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관리형 서버리스 플랫폼
Cloud Functions : 이벤트 기반 함수 배포를 위한 관리형 서버리스 플랫폼
동영상 : 실습소개
1주차 실습에러사항
작업 4. Cloud Shell 코드 편집기 살펴보기
문제 : 13번 REPLACE_WITH_CAT_URL 문자열을 아래로 바꾸라고하는데
해결 : 솔루션 영상에서는 본인의 프로젝트 ID 값으로 지정했었음
본인도 프로젝트 ID값으로 지정하니까, 성공적으로 진행되는것을 확인
'외부활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오픈소스 컨트리뷰션] 번외코스1. 머신러닝 분산처리 프레임워크 동작 이해하기 (0) | 2023.06.21 |
---|---|
[오픈소스 컨트리뷰션] 코스1. Backend.AI 써보고 경험 공유하기 (0) | 2023.06.21 |
[구글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스터디잼 중급] Introduction to Google Cloud 챕터 4. Cloud Shell 코드 편집기 살펴보기 에러해결 (0) | 2023.06.03 |
AWSKRUG 성수 0322 “EKS에서 검색엔진 플랫폼 구축하기” 후기 (0) | 2023.03.24 |
발표에 대해서 끄적끄적 (0) | 2023.02.22 |